경 기 도 /성남시 9

남한산성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9월 29일 ※ 여행 참석 : 5명(아들 이용혁, 딸 이용욱, 용욱이친구, 부인 최은옥, 본인) ※ 여행지 개요 : 사적 제57호. 둘레는 약 8,000m. 신라 문무왕 때 처음 성을 쌓고 이름을 주장성(晝長城)이라 했으며,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에는 일장산성(日長山城)이라 기록하고 있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溫祚)의 성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1624년(인조 2)에 왕이 총융사(摠戎使) 이서(李曙)로 하여금 성을 개축하게 하여 1626년 공사를 끝마쳤다. 4문(門)과 16암문(暗門), 성가퀴[女墻:성 위에 덧쌓은 낮은 담] 1,897개, 옹성(甕城), 성랑(城廊), 우물, 샘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공사는 승려 각성(覺性)이 도총섭(都摠攝)으로서 8도의 승군을 동원하여..

남한산성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6월 02일 ※ 여행 참석 : 2명(최병석,이범주) ※ 여행지 개요 : 사적 제57호. 둘레는 약 8,000m. 신라 문무왕 때 처음 성을 쌓고 이름을 주장성(晝長城)이라 했으며,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에는 일장산성(日長山城)이라 기록하고 있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溫祚)의 성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1624년(인조 2)에 왕이 총융사(摠戎使) 이서(李曙)로 하여금 성을 개축하게 하여 1626년 공사를 끝마쳤다. 4문(門)과 16암문(暗門), 성가퀴[女墻:성 위에 덧쌓은 낮은 담] 1,897개, 옹성(甕城), 성랑(城廊), 우물, 샘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공사는 승려 각성(覺性)이 도총섭(都摠攝)으로서 8도의 승군을 동원하여 진행했는데, 이들을 위해 7개의 절을 지었다..

남한산성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4월 21일 ※ 여행 참석 : 7명(정근,경화,양수,진숙,은주,선자,범주) ※ 여행지 개요 : 사적 제57호. 둘레는 약 8,000m. 신라 문무왕 때 처음 성을 쌓고 이름을 주장성(晝長城)이라 했으며,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에는 일장산성(日長山城)이라 기록하고 있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溫祚)의 성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1624년(인조 2)에 왕이 총융사(摠戎使) 이서(李曙)로 하여금 성을 개축하게 하여 1626년 공사를 끝마쳤다. 4문(門)과 16암문(暗門), 성가퀴[女墻:성 위에 덧쌓은 낮은 담] 1,897개, 옹성(甕城), 성랑(城廊), 우물, 샘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공사는 승려 각성(覺性)이 도총섭(都摠攝)으로서 8도의 승군을 동원하여 진행했는데, 이들을 ..

영장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2월 16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청량산이 서남쪽으로 뻗어내린 줄기에 있는 구릉성 산으로 해발 193.6m이다. 산 동쪽은 남한산성도립공원이 있는 청량산으로 이어지고, 서쪽과 남쪽 사면에는 성남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산 중턱에 '서울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암자'라는 뜻의 망경암(望京庵)이 있고, 서남쪽 기슭에는 봉국사(奉國寺)가 있다. 한편, 성남시 분당과 광주시 직동 경계에도 해발 413.5m의 영장산(또는 맹산)이 있다.(두산백과) [2013년 02월 16일 하루 종합 등산 여행내용] ▽ [영장산 등산 세부일지] 영장산 정상

남한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1월 27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사적 제57호. 둘레는 약 8,000m. 신라 문무왕 때 처음 성을 쌓고 이름을 주장성(晝長城)이라 했으며,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에는 일장산성(日長山城)이라 기록하고 있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溫祚)의 성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1624년(인조 2)에 왕이 총융사(摠戎使) 이서(李曙)로 하여금 성을 개축하게 하여 1626년 공사를 끝마쳤다. 4문(門)과 16암문(暗門), 성가퀴[女墻:성 위에 덧쌓은 낮은 담] 1,897개, 옹성(甕城), 성랑(城廊), 우물, 샘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공사는 승려 각성(覺性)이 도총섭(都摠攝)으로서 8도의 승군을 동원하여 진행했는데, 이들을 위해 7개의 절을 지었다. 지금은 장경..

청계산 이수봉 외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2월 03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서울시 서초구 남쪽에 있는 산이며 높이 618 m이다. 서울을 에워싸고 있는 산들 중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남시와 과천시 그리고 의왕시의 경계를 이룬다. 청계산이라는 이름은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맑아 '청계(淸溪)'라는 이름으로 불렀으며 조선시대에 푸른색 용이 승천하였다는 전설을 두고 청룡산이라고도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두산백과) [2013년 02월 03일 하루 종합 등산 여행내용] ▽ [청계산 등산 세부일지] 눈이 살짝 내렸습니다.

청계산 국사봉 등산

※ 여행 일자 : 2012년 11월 10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청계산(淸溪山)과 더불어 경기도 성남시 서쪽의 의왕시와 경계를 이루는 산봉우리로 높이는 540.2m이다. 망경대(望京臺)·옥녀봉(玉女峰) 등의 여러 산봉우리와 함께 청계산 산줄기를 이룬다. 국사봉이라는 명칭은 고려 말기에 청계산에 은거하던 조견(趙狷)이 조선의 개국공신이 된 형 조준(趙浚)으로부터 새로운 나라의 조정에서 함께 일하자는 권유를 받았으나 이를 뿌리치고 날마다 이 봉우리에 올라가 고려의 멸망을 슬퍼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두산백과) [2012년 11월 10일 하루 종합 등산 여행내용] ▽ [청계산 국사봉 등산 세부일지] 의왕시 바라산과 청계산 연결통로(외각순환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