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행 일자 : 2013년 03월 16일
※ 여행 참석 : 나홀로(범주)
※ 여행지 개요
1) 태화산 : 경기도 광주시의 남부 도척면 유정리 · 추곡리에 위치한 산이다(고도:642m). 경안동 남쪽 국수봉에서 시작된 능선이 쌍령동을 넘어 남하하면서 백마산을 솟게 하고 계속 남진하여 긴 능선을 형성하는데, 크게 보면 '이 능선상의 최고봉'이 태화산이다. 예로부터 대해산(大海山) 혹은 대하산(大河山)이라고도 칭하였다고 전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대해산이 주 남쪽 50리에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해동지도』에 도척면 대하산이라고 표현되어 있다. 『1872년지방지도』와 『대동여지도』에는 대해산으로, 『광여도』에는 대하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중정남한지』에 "대화산은 도척면과 오포면 사이에 있으며 『여지승람』에 대해산이라 하였다. 산의 남쪽은 용인 경계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명과 관련된다고 짐작되는 태화산의 대화약수(大華藥水)는 고려 충숙왕 12년경에 일연선사(日蓮禪師)가 발견한 것이라고 한다. '장군수(將軍水)'라고도 불러왔는데, 구전에 의하면 세종대왕이 훈민정음 창제할 때 어안(御眼)을 치료하기 위해 이 약수를 떠다가 치료한 바 있다고 한다. 그 후 널리 세인들에게 알려졌으며, 조선조 철종 때에 좌찬성 김병기(金炳冀)가 낙향하여 이 약수로 신병치료를 하여 병이 쾌유된 것을 기념하고자 석벽에 '대화수석(大華水石)'이라고 음각하였는데, 현재까지도 흔적이 남아 있다고 전한다. 『조선지지자료』 광주군 도척면 운정동과 상림동에 대해산으로 수록되어 있다. 산 중턱에 백련암 부도가 남아 있고, 태화산 산림욕장 · 추곡저수지 · 유정저수지 등이 있다.
2) 정광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갈담리 ·초부리와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상림리에 걸쳐 있는 산.
전체적으로 능선이 남북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데, 북쪽으로는 노고봉이 인접해 있다. 이밖에도 발이봉·503고지·백운산 등으로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500m 내외의 봉우리들이 이어져 대덕산·태화산 등으로 연결된다.서사면의 유수는 갈담리와 초부리의 작은 개천들을 통해 경안천으로 유입된다. 주요 식생은 참나무가 대부분이지만, 동사면에는 낙엽송, 잣나무 조림지 및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조림연구단지가 있고, 기반암은 흑운모편마암이다. 동사면에는 곤지암컨트리클럽이 있고, 동남사면 산자락에는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조림연구단지 및 양봉과학한국기술연구소 등이 있다. 그리고 동쪽 멀리 남북 방향으로 중부고속국도가 지나고 있으며, 서쪽에는 국도 45호선이 남북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경 기 도 > 광주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시 태화산 외 등산 (0) | 2022.10.15 |
---|---|
남한산성 등산 (0) | 2022.10.05 |
해협산 등산 (0) | 2014.03.25 |
문형산 등산 (0) | 2014.03.25 |
무갑산 및 앵자봉 등산 (0) | 201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