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기 도 /용인시 113

보라산 공세봉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7월 13일 ※ 여행 참석 : 어머니와 함께 ※ 여행지 개요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방곡을 합쳐서 보라리라고 하였다. 마을 앞의 큰 고목나무에 보라매가 깃들었기 때문에 보라매, 보라미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보라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는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이라 불리우고 있고, 주변에있는 산이름을 보라산이라고 정한것 같다.다음지도에 표기는 구매산이라고 되어 있고, 네이버지도에는 보라산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보라동 및 공세동 등 주변에 아파트가..

보라산 공세봉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4월 13일 ※ 여행 참석 : 어머니와 함께 ※ 여행지 개요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방곡을 합쳐서 보라리라고 하였다. 마을 앞의 큰 고목나무에 보라매가 깃들었기 때문에 보라매, 보라미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보라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는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이라 불리우고 있고, 주변에있는 산이름을 보라산이라고 정한것 같다.다음지도에 표기는 구매산이라고 되어 있고, 네이버지도에는 보라산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보라동 및 공세동 등 주변에 아파트가..

함박산 및 부아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3월 23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함박산의 주 능선은 동서 방향인데, 동쪽으로는 무너미고개를 건너 형제봉·독조봉·좌찬고개·건지산으로 연결되고, 서북쪽으로는 학고개를 건너 부아산으로 연결된다. 북사면의 유수는 신기저수지에 모였다가 남리천을 따라 동쪽으로 흘러 경안천으로 유입된다. 남사면의 유수는 도장골천을 따라 남류하다가 상덕천·서리천을 거쳐 동류한 뒤 진위천과 합류한다. 그리고 동남사면의 유수는 내골천을 따라 동류하다가 진위천으로 유입된다. 함박산은 한남정맥(漢南正脈)에 속해있는 산으로 칠장산 죽산)에서 도덕산·국사봉(안성)·상봉·달기봉·무너미고개·함박산(函朴山:349.3m, 용인)·학고개·부아산(負兒山:402.7m, 용인)·메주고개(覓祖峴)·석성산 ..

보라산 공세봉 등산

※ 여행 일자 : 2012년 12월 30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방곡을 합쳐서 보라리라고 하였다. 마을 앞의 큰 고목나무에 보라매가 깃들었기 때문에 보라매, 보라미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보라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는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이라 불리우고 있고, 주변에있는 산이름을 보라산이라고 정한것 같다.다음지도에 표기는 구매산이라고 되어 있고, 네이버지도에는 보라산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보라동 및 공세동 등 주변에 아파트가 많이 ..

부아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02월 28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과 이동면 서리, 기흥구 지곡동에 걸쳐 있는 산. 『동국여지지』에 ‘현의 남쪽 22리에 있는데 봉우리 위에 작은 봉우리가 있어 마치 어린 아이를 업은 형상이라 부아산이라 불린다(在縣南二十二里 峯上處有小峯 若人負兒狀故名)’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여지도서』에는 ‘현 동남쪽 20리에 있는데 굴암산에서 맥이 왔다(在縣東南間二十里 窟巖山來脈)’라고 기록되어 있다.동쪽으로는 학고개~함박산 무네미고개 등으로 능선이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아흔아홉고개~상봉고개를 거쳐 다시 동쪽으로 함봉산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북쪽으로는 상대적으로 낮은 봉우리들이 능선을 이루고 있다.북서사면의 유수는 지곡천을 거쳐 신갈저..

구봉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19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구봉산은 용인시의 원삼면·외사면과 안성시 고삼면의 분기점이 되는 산으로, 용인시에 있는 산 중에서 높은 산에 해당한다. 예부터 산세가 뛰어나 신령스런 산으로 여겨졌다. 구봉산이라는 명칭은 봉우리가 아홉 개라서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이 구봉산 앞에는 무학이라는 마을이 있다. 마을이 춤을 추는 지형이어서 무학(舞鶴)이라고 부른다는 설과, 조선의 도읍지를 정할 때 무학대사가 묵었다고 하여 무학이라고 부른다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한다. 조선이 한양에 도읍지를 정하기 전의 일이다. 임금은 도읍지를 정할 만한 곳을 찾기 위해 전국 각지의 명산을 모두 알아오라고 하였다. 구봉산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여러 대신들의 논의 끝에 서..

조비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19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용인8경 가운데 제6경으로 꼽히는 자연경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에 펼쳐져 있으며 용인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으로 꼽힌다.≪동국여지리≫ 죽산편의 ‘현 북쪽 15리에 봉우리 하나가 우뚝 솟아 돌을 이고 있는데 산이 높고 가파라 빼어난 모양이 기이하게 보인다’라는 기록과 ≪동국여지승람≫의 ‘한 봉우리가 우뚝 솟아 돌을 이고 있는데 그 돌구멍에 흰 뱀이 있어 매년 큰 물이 질 때 천민천에 내려와 사람과 가축에 우환이 되었다’는 기록이 전하는 등 전설과 이야기가 풍성한 산이다. 조선시대 초기에 태조가 도읍을 서울로 옮길 때 지금의 삼각산 자리에 산이 없자, 보기 좋은 산을 옮겨놓는 자에게 상을 내린다 하였다. 이..

석성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05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높이는 472m이다. 용인시에서 10번째 높은 산으로 성산, 구성산, 보개산으로도 부른다. 오산천(烏山川)이 이 산에서 발원하여 기흥읍 중앙을 가로질러 신갈저수지로 흘러든다. 영동고속도로의 마성터널이 뚫려 있으며, 산 북쪽 능선 끝에는 마성톨게이트가 있고 그 뒤쪽으로 에버랜드가 펼쳐져 있다. 동쪽은 경사가 완만한데 견줘, 서쪽인 기흥구 동백동 쪽은 산세가 가파르고 거대한 경사면의 큰 암벽을 이루며, 남쪽이나 북쪽에서 보면 뾰족한 삼각형을 나타낸다. 산세가 육중하고 아름다우며 갖가지 기암괴석과 약수, 여러 전통사찰 등이 어우러져 있고 용인시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시민들이 즐겨 찾는다. 또한 숲이 울창하고 물도 풍부하며..

문수산(문수봉)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26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곱든고개에 주차를 하고 등산하기 시작하면 1.2KM지점에 문수봉이 있다. 문수봉은 해발 403.2KM이다.곱든고개는 동부동 해곡동에서 원삼면 사암리로 넘는 고개로 굽은고개, 곱등고개라고도 한다. 현재는 2차선 포장도로로 바뀌었지만 험한 지형 때문에 옛날부터 호랑이가 자주 출몰하여 고개 밑에 범암굴, 호리 등의 지명이 생길 정도였다. 또한 임꺽정이 죽산 칠장사에 있는 스승을 만나러 가다 가짜 임꺽정을 만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는 곳이기도 하다. 해곡동에서 고개를 따라 올라 고갯마루에 이르면 남쪽으로는 마애불로 유명한 문수봉, 북쪽으로는 칠봉산에서 독조봉까지 오르는 등산로 입구가 있다. 고갯마루에서 사암리 쪽으로 내려서..

쌍령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26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쌍령산 높이는 502m이다. 해주(海州) 오씨(吳氏) 종중이 소유하고 있다. 산행은 원삼면 사암리의 곱든고개를 기점으로 문수봉(404m)에 올랐다가 학일리를 거쳐 쌍령산에 오른 뒤 내려오는 코스가 있다. 산행 중에 학일저수지, 건화목장 등을 볼 수 있다.정상에서 200여m 떨어진 남쪽 능선에는 백운선사(1298∼1374)가 창건한 것으로 보이는 쌍운암의 자리가 있는데, 백운선사는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불조직지심체요절》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곳에서는 옛 사찰에서 주로 출토되는 당초문양의 암막새 기와를 비롯해 청자조각, 주춧돌로 보이는 유물과 함께 수구다라니 목판이 발견되었다.원삼면 학일마을에는 약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