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기 도 /용인시 113

보라산 등산 및 기흥호수 도보여행

※ 여행 일자 : 2014년 08월 03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딱범) ※ 여행 장소 : 경기도 용인시 보라산 및 기흥저수지 ※ 여행지 날씨 : 흐리고 바람세차게 불고, 가끔 해가나옴 ※ 여행지 온도 : 27℃± 2℃ ※ 여행지 코스 : 기흥초등학교~벽산아파트~보라산공세봉~보라동 현대아파트~지곡천~기흥호수공원~기흥초등학교 ※ 여행지 이동거리 : 10.80km ※ 여행지 이동시간 : 2시간40분 (07시55분 ~ 10시35분)

기흥호수 도보여행 및 보라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4월 12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1. 기흥호수 : 신갈저수지라고도 한다. 면적은 0.22㎢이다. 1957년에 착공하여 1964년에 준공되었다. 용인의 수원 인터체인지 남쪽 약 4km에 있다.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석성산(石城山:472m)에서 발원한 물이 저수지로 흘러들며, 저수지 남쪽에서 흘러나온 물길은 신리천(新里川)·장지천(長芝川) 등의 지류와 합치고 오산천(烏山川)으로 흘러 진위천(振威川)에 합류한다. 2. 보라산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보라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4월 06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방곡을 합쳐서 보라리라고 하였다. 마을 앞의 큰 고목나무에 보라매가 깃들었기 때문에 보라매, 보라미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보라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는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이라 불리우고 있고, 주변에있는 산이름을 보라산이라고 정한것 같다.다음지도에 표기는 구매산이라고 되어 있고, 네이버지도에는 보라산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보라동 및 공세동 등 주변에 아파트가 많이 ..

보라산 공세봉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4월 03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방곡을 합쳐서 보라리라고 하였다. 마을 앞의 큰 고목나무에 보라매가 깃들었기 때문에 보라매, 보라미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보라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는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이라 불리우고 있고, 주변에있는 산이름을 보라산이라고 정한것 같다.다음지도에 표기는 구매산이라고 되어 있고, 네이버지도에는 보라산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보라동 및 공세동 등 주변에 아파트가 많이 ..

삼봉산 및 시궁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3년 12월 07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1) 삼봉산 : 높이는 428m이다. 봉우리가 3개여서 삼봉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묵리·시미리·덕성리에 접해 있으며 주봉(主峰)인 남봉(南峰)은 화산리에 속해 있다.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인기있으며 용인시에서도 관심을 갖고 개발하였다.산행은 묵방이 또는 묵뱅이라 불리던 묵리(墨里) 굴암마을에서 시작하여 3개봉 가운데 북봉(北峰)을 먼저 오르고 나서 헬기장이 된 남봉에 오른 다음 시궁산(時宮山:515m)과 연결하여 종주하는 산행코스가 흔하다. 시궁산에서 백운도예지로 내려오느냐, 애덕고개를 거쳐 거문정으로 내려오느냐에 따라 산행시간이 3시간 또는 4시간으로 다르다. 2) 시궁산 : 높이는 515m이다. 용인시 남쪽에서 가장..

청명산 및 매미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2년 11월 25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행정동인 이 동은 법정동인 농서동과 서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서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농사동과 내서천을 합쳐서 생긴 동으로 그 지명도 농사동의 ‘농(農)’자와 내서천의 ‘서(書)’자를 합친데서 유래한 것이다. 서천동 역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외서천과 내서천을 합쳐서 생긴 동으로 여기에서 서천동이란 지명이 생겼다. 선비들이 마을 앞에 흐르는 냇가에 모여 글을 읽은 데서 글‘서(書)’와 내‘천(川)’자를 합쳐 서천리라 칭하였다는 설도 있다.농서동은 서농동 남부에 위치하며 용수골(농서1통)과 반월(농서2통) 2개의 통으로 구성되어있다. 이곳에는 다수의 공장이 입지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삼성전자..

보라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2월 09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보라산리(甫羅山里)에서 유래되었다. 보라산리는 보라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178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본래 용인현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보라동과 통미, 나곡(羅谷), 방곡을 합쳐서 보라리라고 하였다. 마을 앞의 큰 고목나무에 보라매가 깃들었기 때문에 보라매, 보라미라고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보라리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현재는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이라 불리우고 있고, 주변에있는 산이름을 보라산이라고 정한것 같다.다음지도에 표기는 구매산이라고 되어 있고, 네이버지도에는 보라산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보라동 및 공세동 등 주변에 아파트가 많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