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43

서산시 팔봉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5월 25일* 여행 참석 : 나홀로(딱범) * 이동 거리 : 8.2(km) * 이동 경로 : 어송리 주차장~서태사~8봉~7봉~6봉~5봉~4봉~3봉~2봉~1봉~2봉~3봉~어송리(임도)~어송3길~팔봉1로~어송5길~어송리 주차장 (동영상)* 이동 속도 : 23.0(분/km)* 등산 시간 : 07시 56분 ~ 11시 05분 (3시간 09분)* 여행지 날씨 : 흐림(올라갈때)+비(내려올때)+바람(온도 : 20.0±4℃)* 특기 사항 : 하산 하면서 비을 맞아 옷이 흠벅젖어서 차안에서 옷을 갈아 입었다(충남 서산의료원 문상가기 위해서)* 여행지 개요 : 팔봉산 최고봉인 제3봉 높이는 362m이다.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에 있는 산으로 금북정맥에 속하며 《호산록》에 따르면 산이름은 8개..

금오산 및 관모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4월 04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1) 금오산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禮山邑)에 있는 산이다. ‘덕봉산(德峰山)’이라고도 한다. 오른쪽에는 투구봉, 왼쪽에는 칼날봉이 있다. 산 중턱에는 기우제를 지냈던 용바위가 있으며, 아래 기슭에는 향천사(香泉寺)가 있다. 2) 관모산 : 충청남도 예산군의 북동부 예산읍 북동쪽 향천동에 위치한 산이다. '관모봉 · 갈기봉 · 갓모봉'으로도 불린다. 모양이 갓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조선지지자료』(예산)에 관모봉(冠帽峰)이 위수동(渭水洞)에 있다는 내용이 확인 된다. 『조선지형도』(예산)에는 예산읍 북동쪽에 관모산(冠冒山)이 확인된다. [2014년 04월 04일 하루 종합 여행내용] ▽ [관모산 ..

용봉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4월 04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용봉산 높이는 381m이다. 홍성군의 진산으로, 1973년 가야산(678m)·덕숭산(495m) 등과 함께 산 일대가 덕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동남쪽으로 금마천이 흘러 가야산 쪽에서 흘러온 효교천과 함께 삽교천을 이룬 뒤 삽교호로 흘러든다. 산 전체가 바위산이며 산의 좌우 중턱에 백제시대의 고찰 용봉사와 고려시대 불상인 홍성신경리마애석불(보물 355), 미륵석불 등의 문화재가 있고, 예산군 덕산면 쪽에 덕산온천이 있다. 산행은 산 입구 용방치기 주자장에서 시작한다. 등산코스는 최영 장군 활터가 있는 능선을 오르거나 용봉사나 병풍바위를 거쳐 오르는 길, 산 남쪽 용봉초등학교에서 미륵불을 지나 오르는 길 등 여러 가지이..

칠갑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4월 04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높이 561m로, 청양군의 중심부에 있다. 1973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차령산맥에 속하며 북쪽의 한티고개(大峙:대치)를 지나 동쪽에서 서쪽으로 대덕봉(大德峰:472m)·명덕봉(明德峰:320m)·정혜산(定惠山:355m) 등과 이어진다. 대치천(大峙川)·장곡천(長谷川)·지천(芝川)·잉화달천(仍火達川)·중추천(中湫川) 등이 산의 능선을 따라 내려 흘러 금강으로 흘러간다. 계곡은 깊고 급하며 지천과 잉화달천이 계곡을 싸고 돌아 7곳에 명당이 생겼다 하여 칠갑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산세가 험해 ‘충남의 알프스’라는 별명이 생겼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울창한 숲이 그대로 남아 있다. 문화재는 신라 문성왕 때 보조(普照) ..

태조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18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높이는 421m이다. 태조봉이라고도 한다. 천안의 진산(鎭山)으로, 산이름은 고려 태조가 이곳에서 군사를 양병했다는 설에서 유래하였다. 미호천(美湖川)의 원류인 유량천, 산방천의 분수계를 이룬다. 높은 산은 아니지만 완만한 산세로 천안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산행 코스는 3∼4개가 있는데, 대체로 2시간 이내의 짧은 산행이어서 산책이나 가족산행으로 알맞다. 천안 시민은 주로 원성동 체육공원에서 구름다리를 거쳐 유량동을 지나 성불사 뒤 능선을 따라 태조산을 오르는 5.3㎞ 길이의 코스를 이용한다.산자락에 경주 불국사(佛國寺) 이래 대사찰이라는 각원사(覺願寺)가 있는데, 1977년 남북통일을 염원하며 재일교포..

성거산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1월 18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높이는 579m이다. 천안 시가지 동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왕건이 삼국을 통일하기 위하여 애쓰고 있을 때 천안시 직산읍 산헐원을 지나다가 동쪽의 이 산을 보고 신령이 있다면서 성거산이라고 부르고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정상에는 성거산성(충남문화재자료 263)이 있는데, 지금은 군사 기지가 들어서 있다. 삼국시대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며, 성곽이 많이 파괴되어 옛 모습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계속 가면 백제 도읍지였던 위례산의 위례산성(충남기념물 148)에 이른다.(두산백과) [2014년 01월 18일 하루 종합 등산 여행내용] ▽ [성거산 등산 세부일지] 등산로 초입 성거산 정상

계룡산 국립공원 관음봉 외 등산

※ 여행 일자 : 2014년 03월 01일 ※ 여행 참석 : 나홀로 ※ 여행지 개요 : 높이는 845m이다. 주봉인 천황봉을 비롯해 연천봉·삼불봉·관음봉·형제봉 등 20여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졌으며, 전체 능선의 모양이 마치 닭볏을 쓴 용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계룡산이라고 불린다. 신라 5악(五嶽) 가운데 하나로 백제 때 이미 계룡 또는 계람산, 옹산, 중악 등의 이름으로 바다 건너 당나라까지 알려졌으며, 풍수지리상으로도 한국의 4대 명산으로 꼽혀 조선시대에는 이 산 기슭에 새로이 도읍지를 건설하려 했을 정도이다. 특히 《정감록(鄭鑑錄)》에는 이곳을 십승지지(十勝之地), 즉 큰 변란을 피할 수 있는 장소라 했으며 이러한 도참사상으로 인해 한때 신흥종교 및 유사종교가 성행했으나 종교정화운동으로 1984년 ..